서부간선도로 지하화도로 월드컵대교 개통일 통행료 요금 진출입로 조감도 간선도로 교통상황 이용 주의사항

    반응형

    자동차를 타고 출퇴근을 하는 분이라면 강남대로 서부간선도로 월드컵대교 올림픽대로 등 자동차가 가는 길이 정체가 있는 곳이라면 도로가 한산 해지는 안 막히는 시간대를 꼭 확인을 하고 출퇴근 시간을 조정을 하거나 휴무일을 조정해서 출근을 하실 텐데요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개통 및 월드컵대교 개통 등을 앞두고 있어서 이 도로를 지나는 분들이라면 자동차 출퇴근이 평소보다 20~30분은 빨라지게 되는 좋은 소식을 전달해 드립니다 

     

    제일 궁금해하시는 사항으로 개통일과 요금일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정말 막히지 않을지에 대한 교통량에 대해 궁금증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교통요금 통행료 및 개통일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교통요금 통행료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도로 교통요금 통행료는 2500원입니다. 왕복으로 하면 5,000원인데요 적은 비용은 아니지만 다른 유료 도로에 비해 저렴하게 책정이 되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안산까지 출퇴근을 하려면 교통편으로는 2시간이 걸려서 조금이라도 일찍 출퇴근을 하기 위해 개인 차량을 이용을 하고 있어서 5천 원이 적은 비용은 아니지만 이용을 해 볼까 합니다.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및 월드컵대로 개통일

    두 번째 궁금한 사항인 개통일자는 9월 1일부터 정오 개통으로 도로를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도로 요금

    9월 14일까지는 무료로 운영 테스트 기간을 거칠 것으로 보이고 요금은 9월 15일부터 징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도로 사용대상 자동차

    제한 높이 3.0m 소형차 전용도로로 설계가 되어 승용차와 승차 정원이 15인 이하인 승합차, 1t 이하 화물차(총 중량 3.5t 이하) 등이 통행이 가능하며 주행 중 차량번호가 자동 인식돼 정차 없이 통행료가 자동으로 부과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으로 편리성을 느렸고 시간 절약을 꾀한 것으로 보입니다 

     

    서부간선도로 지하도로 사용 시 주의 사항!!!

    서부간선도로 지하도로는 입 진출로가 성산대교쪽과 금천 IC 서해안고속도로 연결도로까지 연결이 되는데요 중간에 입구나 출구가 없는 것이 특징으로 혹시 중간지점이 목적지인 경우는 서부간선도로 지하도로를 이용하시면 안 됩니다. 즉 서부간선도로 지상 도로를 이용을 하셔야 합니다. 

     

    1) 서부간선도로 지하도 성산대교 쪽 입 진출로 위치입니다. 

     

    2) 서부간선도로 지하도 남단 금천 IC 쪽 입 진출로 위치입니다.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진출입로 조감도 수혜지역

     

    월드컵 대교와 서부간선도로 사업은 오세훈 시장이 있을 때 시작을 한 것으로 고 박원순 시장 때 예산 삭감으로 기간이 늦어졌다가 이번에 착공이 되었는데요 왜 이리 늦어졌는지 이유를 알고 나니 왜 예산을 삭감을 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서부간선도로지하화도로-조감도
    서부간선도로 지하도로 조감도 

     

    서부 간선 도로 지화화 지하도로 관련 조감도와 수혜지역에 대한 글인데요 추가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서부 간선도로 지하화 월드컵 대교 개통일 진출입로 통행료 요금 교통상황 조감도PDF 최고수혜지

    매주 월요일 출근하는 요일에 서부간선도로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이라면 내부간선도로처럼 위에 도로가 하나 더 있거나 아래 도로가 하나 더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수도 없이 했을 텐데요 드

    indiakim.tistory.com

     

    서부간선도로 지하도로는 최고 제한속도 80km/h로 설계가 되었으며 교통량 분산 효과로 출퇴근 시간대 통행 시간은 3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보입니다. 민자사업으로 건설된 유료 도로로 현대건설이 맡아 진행을 했습니다. 사업비 규모는 시비 2352억 원과 민간자본 5267억 원 등 모두 7619억 원이 투자되어 건설되었으며 30년간 민간사업자가 운영해 통행료로 수익을 내는 구조로 사업 설계가 되었다고 합니다.

     

     

     

     

     

    올림픽 대교 착공 개통일 진출입로 수혜지역

     

    올림픽 대교는 몇 번째 한강대교 다리?

    서부간선도로 지하도로와 더불어 동시에 개통하는 서울의 31번째 다리로 서부간선도로와 근접해서 월드컵대교 북단과 남단 램프들이 어떻게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와 연결되는 부분을 지도로 한번 보시고 실제로 운행을 해보면 도로가 어떻게 생겼는지 아실 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월드컵대교 개통은 왕복 6차로 만들어졌고 한일월드컵을 기념해서 이름을 지었다고 하는데요 올림픽대교와 월드컵 대교 이름이 약간 헛갈리기는 합니다. 월드컵 대교는 2010년 착공을 시작 후 11년만 완공으로 한강대교 중 가장 오랜 건설 기간이 걸린 다리라고 합니다. 

     

    올림픽대교 위치입니다. 

     

    아래 표는 한강대교 이름과 위치도입니다. 

     

    한강대교별-이름-교통량data-origin-height=
    한강대교 이름 및 교톨량

     

     

    월드컵대교 위치 및 진출입로 조감도 램프 지도

    월드컵대교 램프 : 북단에서는 내부순환로, 증산로, 강변북로와 연결이 되고 남단에서는 서부간선 지하도로, 올림픽대로에 연결이 되는 다리로 동시 개통이 아닌 순차적 개통으로 2022년까지 공항대로와 안양천로에서 월드컵대교로 바로 진입하는 램프가 추가 건설 중입니다. 

     

     

    월드컵대교 개통 수혜지역

    해당 램프의 도로까지 개통을 하게 될 경우 수혜지역으로는 강서구와 양천구 주민까지 모두 정체가 해소가 돼서 해피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월드컵대교 예측 교통량

    월드컵대교 예측 통행량 하루 8만대로 성산대교 교통량 하루 평균 17만 대에서 21% 정도 감소해 주변 교통 체증 해소는 확실해 보입니다. 

     

    올림픽대교-진출입로위치
    올림픽 대교 진출입로 

     


    한강의 31번째 다리 월드컵대교는 서부간선도로와 내부순환로를 직통으로 잇게 되는데요 같은 날인 9월 1일 개통을 하게 되면서 영등포구 양평동 성산대교 남단과 금천구 독산동 서해안고속도로 금천 IC를 지하로 연결하는 서부간선 지하도로까지 교통난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을지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월드컵 대교 길이 넓이 착공기간 
    월드컵대교의 경우 연장 1.98㎞ 너비 31.4m의 왕복 6차로 교량으로 2010년 착공해 약 11년 만에 완공이 되었는데요 북단은 내부순환로 증산로와 남단은 서부간선 지하도로와 올림픽대로에서 각각 진출입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었으며 이번 9월 개통 구간은 교량 본선과 남단 연결로 일부가 대상입니다. 

    2022년 12월에 램프 D 구간인 공항대로와 안양천로에서 월드컵대교로 바로 진입하는 램프와 월드컵대교에서 공항대로로 진출하는 램프가 각각 개통이 될 예정입니다. 

    반응형

    댓글(0)

    Designed by JB FACTORY